별자리71 [카멜레온자리] 남반구의 작은 별자리 카멜레온자리(Chamaeleon)는 남반구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작고 어두운 별자리 중 하나이다. 현대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분류되며, 주로 16세기 유럽 탐험가들이 남반구 하늘을 탐색하면서 새롭게 추가된 별자리 중 하나이다. 이 별자리는 주변에 밝은 별들이 거의 없으며, 맨눈으로 찾기 어려운 편이지만, 흥미로운 천체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 카멜레온자리는 약자로 Cha라고 불리며, 면적은 132 평방도를 차지하고 있어서 88개 별자리 중 79위이다. 케멜레온자리는 남반구에서 가장 밝은 별 4.05등급의 α Chamaeleontis를 포함하고 있다. 이 별자리는 남반구 가을과 겨울에 잘 보이며, 북반구에서는 저위도 지역에서만 부분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주변 별자리로.. 2025. 2. 27. [기린자리] 북쪽 하늘의 은은한 별자리 기린자리(Camelopardalis)는 북반구의 희미한 별자리 중 하나로, 현대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분류된다. 그 이름은 “카멜로파르달리스(Camelopardalis)”로, 라틴어에서 낙타(Camelus)와 표범(Leopardus)을 합친 단어로, 오늘날의 기린(Giraffe)을 의미한다. 이 별자리는 밝은 별이 거의 없어 맨눈으로 쉽게 찾기 어렵지만, 밤하늘에서 비교적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어서 천체 관측가들에게 흥미로운 대상이다. 기린자리는 약자로 Cam이라고도 불리며, 757 평방도의 면적을 갖고 있어 88개 별자리 중 18위를 차지하고 있다. 가장 밝은 별은 밝기 4.03등급의 β Camelopardalis이다. 북반구와 북극 근처에 자리 잡고 있는 이 별자리는 북반구에서 일 년 내내 관측.. 2025. 2. 26. [세페우스자리] 왕의 이름을 가진 별자리 세페우스자리는 북반구 하늘에서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로, 그리스 신화 속 에티오피아의 왕 세페우스(Cepheus)에서 유래하였다, 이 별자리는 카시오페이아자리(Cassiopeia), 안드로메다자리(Andromeda), 페르세우스자리(Perseus)와 함께 신화적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페우스자리는 ’천구의 북극 근처에 위치한 대표적인 순환 별자리(일주별)‘이며, 북반구에서는 일 년 내내 보이는 별자리 중 하나이다. 특히, 세페이드 변광성(Cepheid Variable)의 대표격인 델타 세페이 변광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천문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세페우스자리(Cepheus)의 기본 정보를 살펴보자면 약자로 Cep 이라고도 한다. 면적은 588 평방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88개 .. 2025. 2. 24. [센타우루스자리] 전설 속 반인반마와 천문학의 보고 센타우루스자리는 남반구에서 가장 크고 밝은 별자리 중 하나로, 신화 속 반인반마 종족인 센타우루스에서 유래했다. 남십자자리(Crux)와 함께 남쪽 하늘을 대표하는 별자리이며, 가장 가까운 별인 ‘프록시마 센타우리(Proxima Centauri)’와 눈부신 이중성 ‘알파 센타우리(α Centauri)’를 포함하고 있다. 센타우루스자리(Centaurus)는 약자로 Cen이라고도 불리며, 면적은 1,060 평방도를 갖고 있어서 88개 현대 별자리 중 9위이다. 센투우루스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알파 센타우리(α Cen)’는 –0.26등급을 가지고 있으며, 주변 별자리로 북쪽에 천칭자리(Libra), 동쪽에 파리자리(Musca)와 파보자리(Pavo), 남쪽에 남십자자리(Crux), 서쪽에 바다뱀자리(Hydra.. 2025. 2. 2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8 다음